Class1 Optional 클래스 스프링 부트 공부를 하면서 간간히 Optional 클래스를 사용하는 경우를 보았다. //업데이트(수정) public List update(final TodoEntity entity){ //1) 저장할 entity 유효성 검사 validate(entity); //2)넘겨받은 entity의 User를 이용하여 TodoEntity를 가져옴 final Optional original = repository.findById(entity.getId()); //오리지날이 존재하면 original.ifPresent(todo->{ //3) 반환된 TodoEntity가 존재하면 값을 새 entity 값으로 덮어씌우기 todo.setTitle(entity.getTitle()); todo.setDone(entity.isDon.. 2022. 4.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