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3 [백준] 5052번: 전화번호 목록 Java 문제 전화번호 목록이 주어진다. 이때, 이 목록이 일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전화번호 목록이 일관성을 유지하려면, 한 번호가 다른 번호의 접두어인 경우가 없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목록이 아래와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자 긴급전화: 911 상근: 97 625 999 선영: 91 12 54 26 이 경우에 선영이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전화기를 들고 선영이 번호의 처음 세 자리를 누르는 순간 바로 긴급전화가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목록은 일관성이 없는 목록이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1 ≤ t ≤ 50)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전화번호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10000) 다음 n개의 줄에는 목록.. 2022. 5. 9. [백준] 25114번: Sequence Conversion Java 문제 You are given two arrays of non-negative integers a_1,a_2,…,a_N and b_1,b_2,…,b_N. You can perform the following operation several times: Choose a non-negative integer x and an index 1≤i 2022. 5. 8. 리액트 useRef(1) DOM 선택 React에서 특정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선택하고 싶을 때 useRef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에서는 리셋 버튼을 누르면 포커스가 이름 input으로 이동하도록 할 것입니다. 1) 객체 생성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useState,useRef } from "react"; function Func(){ //선언 const [inputs, setInputs]=useState({ nickname : '', name : '' }); //값 추출 const {name,nickname} = inputs; //ref 선언 const nameInput = useRef(); nameInput이라는 ref 객체를 생성합니다. 2) 기능 부여 /.. 2022. 5. 7. 리액트 useState 여러 요소 다루기 state 내 여러 요소가 있다면 다음과 같이 관리할 수 있다. 1) 선언 const [inputs, setInputs]=useState({ nickname : '', name : '' }); 여기서는 nickname과 name 2가지 요소를 관리한다. 2) 추출 const {name,nickname} = inputs; inputs 내부의 name과 nickname을 추출하였다. 이제 함수 내부에서 {name}, {nickname}으로 해당 값을 가져올 수 있다. 3) 이벤트 변화 //입력값 출력 const onChange = (e)=>{ const {value,name} = e.target; //타겟의 name과 value 가져오기 console.log(value + " " +name); setInpu.. 2022. 5. 6. [백준] 25048번: 랜선 연결 Java 문제 최근 연구실 위치를 옮긴 은규와 연구실 사람들은 큰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이사한 연구실에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행히도 이웃 연구실에서 인터넷이 연결된 랜선 한 가닥을 얻을 수 있었고, 이 랜선을 연구실에 있는 스위치에 잘 연결해서 인터넷을 연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현재 연구실에는 N개의 스위치(Network Switch)와 M개의 컴퓨터가 있습니다. 각 스위치는 a_i개의 포트가 있고 b_i의 설치 비용이 듭니다. 스위치에서 컴퓨터로 인터넷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1개의 인터넷이 공급된 선이 연결되어야 하며 (a_i)−1개의 다른 기기(스위치 혹은 컴퓨터)에 인터넷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스위치끼리 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은,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불가능합니다. 은규.. 2022. 5. 5. 리액트 함수형 컴포넌트 0. 선언 function 컴포넌트명(props){ return ( jsx 문법 ) } export default 컴포넌트명; 1. useState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props.number); state를 세팅할 때 사용한다. 위 코드는 state.number를 props.number로 지정하고, setNumber(변경사항) 은 state의 number를 변경사항으로 변경한다. 2.useEffect useEffect(function(){ render 후 실행, 반환 전 return ( 반환 후 실행 ); }); render 이 후, 컴포넌트 반환 전 실행 return 은 반환 후 실행 (clean up) 3.useRef const nameInput = us.. 2022. 5. 5. 리액트 기초 : Event(2) 이번엔 상위 컴포넌트에서 정의한 메서드를 하위 컴포넌트에서 실행시켜보겠다. 메서드의 경우에도 props를 이용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1) 상위 컴포넌트의 메서드 하위 컴포넌트에서 실행 상위 컴포넌트에서 hihihi를 alert하는 메서드를 만들고 이를 하위 컴포넌트에서 실행시키고자 한다. App.js /*----중략---*/ /*----중략---*/ Subject.js /*----중략---*/ return ( {this.props.title} {this.props.sub} ); /*----중략---*/ App.js에서 onChangePage라는 function이 alert이 되도록 정의하고, Subject.js에서 클릭 시 props를 이용하여 해당 메서드를 호출하였다. 결과 상단의 WEB 글자를 클릭.. 2022. 5. 4. [백준] 25046번 / 25047번: 사각형 게임 Java 문제 어느 날,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던 민우는 지루함을 참지 못하고 그만 노트에 N×N 크기의 격자를 그려버리고 말았습니다. 격자의 칸이 비어있으면 허전하니, 민우는 격자의 각 칸에 정수 S(i,j) 도 써넣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민우는 옆자리에서 졸고 있던 종진이에게 간단한 게임을 제안했습니다. 게임의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민우가 먼저 N개의 행 중 0개 이상의 행을 고르고, 선택한 행에 속한 모든 칸들을 색칠합니다. 그다음엔 종진이가 N개의 열 중 0개 이상의 열을 고르고, 선택한 열에 속한 모든 칸들을 색칠합니다. 어떤 칸이 민우와 종진이에 의해 모두 색칠되었다면, 그 칸에 적힌 수만큼 종진이가 점수를 얻습니다. 어떤 칸이 민우와 종진이에 의해 모두 색칠되지 않았다면, 그 칸에 적힌 수만큼 종진.. 2022. 5. 4. 이전 1 ··· 4 5 6 7 8 9 10 ··· 1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