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뱀과 사다리 게임을 즐겨 하는 큐브러버는 어느 날 궁금한 점이 생겼다.
주사위를 조작해 내가 원하는 수가 나오게 만들 수 있다면, 최소 몇 번만에 도착점에 도착할 수 있을까?
게임은 정육면체 주사위를 사용하며, 주사위의 각 면에는 1부터 6까지 수가 하나씩 적혀있다. 게임은 크기가 10×10이고, 총 100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는 보드판에서 진행된다. 보드판에는 1부터 100까지 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적혀져 있다.
플레이어는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만큼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i번 칸에 있고, 주사위를 굴려 나온 수가 4라면, i+4번 칸으로 이동해야 한다. 만약 주사위를 굴린 결과가 100번 칸을 넘어간다면 이동할 수 없다. 도착한 칸이 사다리면, 사다리를 타고 위로 올라간다. 뱀이 있는 칸에 도착하면, 뱀을 따라서 내려가게 된다. 즉, 사다리를 이용해 이동한 칸의 번호는 원래 있던 칸의 번호보다 크고, 뱀을 이용해 이동한 칸의 번호는 원래 있던 칸의 번호보다 작아진다.
게임의 목표는 1번 칸에서 시작해서 100번 칸에 도착하는 것이다.
게임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100번 칸에 도착하기 위해 주사위를 굴려야 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게임판에 있는 사다리의 수 N(1 ≤ N ≤ 15)과 뱀의 수 M(1 ≤ M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사다리의 정보를 의미하는 x, y (x < y)가 주어진다. x번 칸에 도착하면, y번 칸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뱀의 정보를 의미하는 u, v (u > v)가 주어진다. u번 칸에 도착하면, v번 칸으로 이동한다는 의미이다.
1번 칸과 100번 칸은 뱀과 사다리의 시작 또는 끝이 아니다. 모든 칸은 최대 하나의 사다리 또는 뱀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는 없다. 항상 100번 칸에 도착할 수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100번 칸에 도착하기 위해 주사위를 최소 몇 번 굴려야 하는지 출력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6928
16928번: 뱀과 사다리 게임
첫째 줄에 게임판에 있는 사다리의 수 N(1 ≤ N ≤ 15)과 뱀의 수 M(1 ≤ M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사다리의 정보를 의미하는 x, y (x < y)가 주어진다. x번 칸에 도착하면, y번 칸으
www.acmicpc.net
접근
1부터 시작하여 너비 우선 탐색을 진행합니다.
탐색 과정에서 현재 위치를 now, 이동 횟수를 move라고 한다면,
주사위를 굴리면 1~6칸 이동할 수 있음으로
현재 위치에서 +1~+6 인 다음 칸의 이동 횟수는 move+1 입니다.
만약 이동할 위치가 100이하이며(범위 내),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
방문 여부를 체크합니다.
만약 이동할 위치에 사다리나 뱀이 있다면 무조건 이동한 뒤 방문 여부를 체크합니다.
방문여부를 새롭게 체크했다면, 이동할 지점과 새로운 이동 횟수(move+1)를 기준으로 다시 탐색합니다.
탐색 중 100인 지점에 도착하면 탐색을 중지하고 이동 횟수를 출력합니다.
구현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사다리 수
int n=Integer.parseInt(st.nextToken());
//뱀 수
int m=Integer.parseInt(st.nextToken());
//사다리 또는 뱀 이용
int[] shortCuts = new int[101];
for(int i=0;i<n+m;i++) {
st=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s=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e=Integer.parseInt(st.nextToken());
shortCuts[s]=e;
}
int answer = 0;
//너비 우선 탐색 < 현재 위치, 움직인 수 >
Queue<int[]> q = new LinkedList<>();
//방문여부 표시
boolean[] visited = new boolean[101];
//1에서 시작, 주사위 던진 수 0
q.add(new int[] {1,0});
//1 방문 여부 표시
visited[1]=true;
//너비 우선 탐색
while(!q.isEmpty()) {
int[] curr=q.poll();
//현재 위치
int now = curr[0];
//움직인 수
int move = curr[1];
//최종 목적지 도착시 중지
if(now==100) {
answer=move;
break;
}
//주사위 던지기 (1~6칸 앞으로 이동)
for(int i=1;i<=6;i++) {
//다음 도착지
int next = now+i;
//다음 도착지가 100 이하이며, 방문하지 않았다면
if(next<=100&&!visited[next]) {
//방문 표시
visited[next]=true;
//뱀이나 사다리가 있다면 next 변경
if(shortCuts[next]!=0) {
//뱀,사다리 이용한 다음 도착지
next = shortCuts[next];
//방문 표시
visited[next]=true;
}
//다음 도착지, 현재 이동 횟수 +1을 큐에 넣기
q.add(new int[] {next,move+1});
}
}
}
//100에 도착한 이동횟수 출력
System.out.println(answer);
br.close();
}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 무지의 먹방 라이브 Java (0) | 2022.05.18 |
---|---|
[백준] 1764번: 듣보잡 Java (0) | 2022.05.17 |
[백준] 2477번: 참외밭 Java (0) | 2022.05.11 |
[백준] 5052번: 전화번호 목록 Java (0) | 2022.05.09 |
[백준] 25114번: Sequence Conversion Java (0) | 2022.05.08 |
댓글